
욕실수전과 방수페인트 선택법
욕실수전 주변은 물이 가장 자주 닿는 지점이라 방수페인트 선택이 전체 방수 성능을 좌우한다. 먼저 표면 소재를 확인하라, 세라믹, 타일, 콘크리트, 금속 각 표면에 맞는 접착력과 유연성 차이가 있다.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 유형별 장단점을 이해하고 고르자. 예를 들어 에폭시는 강한 내수성을 보이지만 금속 수전 접합부처럼 유연성이 필요한 부위엔 갈라짐이 생길 수 있다.
욕실수전의 금속 마감(크롬, 니켈, 황동 등)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는 프라이머나 전용 실란트로 밀착을 확보해야 누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제품의 권장 도포 두께와 건조 시간을 확인하고, 제조사가 제시한 2회 이상 도포 원칙을 지키자.
시공 전 샘플 테스트를 추천한다, 작은 면적에서 접착력과 마감 상태를 확인하면 수전 주변 마무리 실패로 인한 재시공을 줄일 수 있다.
시공 전 준비와 점검 포인트
시작은 철저한 점검에서 출발한다. 기존 타일의 균열, 줄눈 상태, 배수 경로, 샤워기교체 여부와 욕조수전 주변 상태를 먼저 확인하라. 작은 틈이라도 방수층 밑으로 물이 침투하면 성능 저하가 빨라진다.
수전금구는 가능하면 분리하거나 보호 커버로 완전히 가려 도장 중 오염을 막는다. 물밸브를 잠그고 배관 내부의 잔수 제거, 주변 표면의 기름때와 이물질을 제거한 뒤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화장실공사비용에서 방수는 재료비보다 준비와 인건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욕조수전과 연결되는 배관이나 샤워기관계의 변경이 있을 때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므로 견적을 미리 정확히 확인하자.
복잡한 샤워 부스나 욕조 설치, 수전 배관 변경이 포함된 경우 전문가의 검토를 권한다, 부적절한 DIY는 보수 시 더 큰 비용과 시간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교체 후 유지관리와 문제 해결 방법
도장 후 첫 72시간은 표면 충격과 물리적 접촉을 피해야 한다, 초기 경화가 진행되는 시기라 표면 손상이 생기면 방수층이 취약해진다. 이후에도 샤워기교체나 수전 조작 시 실란트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라.
일상 관리는 부드러운 중성세제를 사용하고, 강한 산성·염기성 세제는 피한다. 세제 잔여물이 줄눈과 방수층 사이에 쌓이면 접착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헹구어 제거하라.
흠집이나 박리 발생 시에는 즉시 주변을 건조시키고 소량의 전용 보수제나 실란트로 부분 보수하는 것이 전체 재시공을 막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카트리지형 수전 내부 부품 문제라면 수전 자체의 점검과 교체를 고려하라.
입주 초기의 AS 기간과 보증 조건을 확인해 두는 것도 중요하다. 작은 누수라도 초기에 잡아내면 화장실공사비용과 추가 손해를 크게 줄일 수 있으니, 교체 후 1개월 내 점검을 습관화하라.